일반적으로 보통의 사람들은 주식투자가 어렵다고 생각하십니다.
물론 금융전공으로 전문적으로 들어가면 금융관련 다양한 공식들이 있어 머리를
아프게 하지만 실제 개인투자자 입장에서는 초등학생 저학년들이 하는 사칙연산만 할 수 있으면 주식투자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어떠한 학문보다도 쉬운 주식투자라고 하지만, 학문적인 측면보다 훨씬 어려운 점이 하나 있습니다.
사례를 들어 보면 요즘은 어린이들이 똑똑해서인지 유치원 때부터 사칙연산을 하는 아이들이 참으로 많습니다.
더하기 빼기부터 나누기 곱하기 까지를 초등학교 1,2학년에 모두 배우더라구요.
어린이를 키우는 집에서는 초등학교 시절 그 사친연산을 가르치느라 부모님들 참으로 애 많이 먹으시지요.
그리고 "아이고~ 그것도 못푸니!" 라면서 아이들을 혼내기도 합니다.
사칙연산이라.. 아이러니하게도 주식투자에서 사칙연산 계산이 나오게 되면 성인인 어른들은 어려운 공식도 아닌데 혼란에 빠지고 맙니다. 초등학생
저학년 아이들도 풀 수 있는 문제인데도 말입니다.
예를 들어 주당순이익을 계산할 경우 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누어 주기만 하면 됩니다.
그런데 공식이 나오는 것만으로도 "아 ~~ 머리
아파"하시는 분들 참으로 많습니다. 자제분들 어릴 때, 사칙연산 못한다 하여 혼내셨을 어른들이 말입니다.
주식투자를 곰곰히 생각 해 보면 다른 학문에 비하여 어느정도 쉽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금융관련 자격증 시험문제를 보아도 계산문제라 한들 아주 복잡한 것이 아니라 사칙연산 수준에서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복잡한 복리
계산 등도 있지만 그런 문제는 포기하더라도 잘하면 사칙연산만으로도 금융관련 자격증을 딸 수 있을 정도입니다. 난이도가 있는 금융 자격증 시험에
단순한 쌀집 계산기만 들고 오는 분들도 은근히 많을 정도아니 말입니다.
다른 학문들은 그 학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Top이 되어야만 합니다. 학문 뿐만 아니라 모든 직업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최고의 위치에 있어야 겨우 자리를 지킬 수 있지요.
생존을 위해 1등을 해야 하는 현실을 생각하면 현대인이 참으로 어렵게 산다는 슬픈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하지만, 주식투자는 1등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사실 누가 1등인지 알 수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상위 1%에 무조건 들어가야만 생존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저 중간정도만 해도 시장에서 충분히 생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익이 났다는 것을 인정할 수준이 되려면 상위 30%이상 정도만 하면 됩니다.
장기적으로 주가지수에만 투자해도 손해는 보지 않으니 이 위치를
중간 정도로 잡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